BOOKLINE

ICON고객센터

TEL
02-883-4939
FAX
02-876-2006

평   일  12:00~18:00
주말/공휴일  휴무

ICON입금계좌

KB국민은행

예금주 : 주) 베리타스에듀
번호 : 811401-04-243525

ICON배송안내

· 오후 3시 이전 구매

당일 택배 발송
(주문량 증가 및 도서 입고 지연시는 제외)

· 오후 3시 이후 구매

익일 택배 발송

*주말,공휴일 발송 제외

국제정치학 기출문제 해설집

국제정치학 기출문제 해설집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1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학연
저자 신희섭
판형 190*260
페이지 550
출간일 2025년 4월 8일
정가 40,000원
판매가 36,000원   -4,000원 할인
포인트 구매금액(추가옵션 제외)의 1%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옵션

선택된 옵션

상품 상세설명

 

- 목차 -

 

반갑습니다. 국제정치학을 수험으로 접하는 분들을 위해 그간의 국제정치학 기출문제들을 해설하는 책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2013년 시작된 국립외교원 기출문제와 2003년부터 외무고시, 5급공채(과거 행정고시) 국제통상직, 5급공채와 입법고시의 정치학 시험에서 출제된 국제정치학 기출문제를 해설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목표는 3가지입니다. 

첫째, 기존의 기출문제들이 어떤 문제 제기와 논리 구조로 만들어졌는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 책을 보는 주된 층은 국립외교원 시험을 준비하거나 5급공채 혹은 입법고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일 것입니다. 이 분야를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기출 문제의 구성원리, 출제자이신 고수님들의 출제 취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들여 만들어진 문제의 지문과 설문에서 ‘무엇을 묻고 있는지’. ‘어떤 개념들은 지문이나 설문에 왜 들어갔는지“, 그리고 ’출제자들의 문제를 규정하는 범위와 논리적 구성은 어떤지‘를 배우는 것이 이 책의 가장 중요한 목표입니다. 

6명의 교수님이신 출제 위원이 출제할 때 이 분들이 긴 시간 동안 공들여서 문제를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논의를 거쳐서 완성된 문제는 수험생이 만날 수 있는 가장 좋은 교재이자 수험의 가이드라인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의 논리 구성을 소개하고, 교수님들이 공들여 만들었지만 수험생이 미쳐 발견하지 못한 부분이나 구체적인 문제 제기를 소개하는 것이 이 책의 첫 번째 목표입니다. 

둘째, 기존 기출문제들을 해설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분석 도구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되어 논리를 구성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설명된 해설이 출제자의 취지를 완벽하게 반영하여 구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출제자들이 누군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여러 위원이 문제를 만들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푸는 데 이 정도의 이론적 도구를 활용하면 논리적 해석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이 해설을 보면서 수험생들이 첫째, 출제 의도 파악, 둘째, 논리적 목차의 구성, 셋째, 이론과 분석도구 도출, 넷째, 이론의 대입과 분석, 다섯째, 사례를 통한 입증 과정을 순서대로 배우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이후 본인이 만나게 될 문제에 대한 풀이 방법을 친숙하게 만들면 시험장에서 좀 더 안전하고, 빠른 목차와 논리를 구성하게 될 것입니다.

셋째, 이 문제들을 통해 몇 가지 논리 구성과 유형을 분류해보는 것입니다. 기출문제가 동일하게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를 이루는 형식이나 중요한 주제는 반복되어 각도만 달리하여 출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출문제가 앞으로 수험을 준비할 때 향후 나올 문제를 예상할 수 있거나 대비할 수 있는 힘을 키워줄 것입니다. 유사한 문제와 논리 구조에서 빨리 문제의 취지를 파악하고 목차를 만들어 보는 것은 좋은 점수를 받는 데 유리할 것입니다.

보는 분에 따라서 이 책의 해설이 부족한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수험생들에게는 가이드 라인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 책을 조심스럽게 출판합니다. 

이 책을 만들 때 도움을 준 배소예 씨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많은 수험생에게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15년 4월 2일

신희섭(국제정치학 박사, 단국대 정치외교학과 초빙교수)​ 

 

 

 

- 목차 -

 

 

Part 01. 외교사



제1문
유럽협조체제 이후 100년의 평화유지 원인(2022년 국립외교원) 3

제2문
유럽협조체제 이후 강대국간 협력 사례(2024년 국립외교원) 7

제3문
크림전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2015년 국립외교원) 10

제4문
동방문제와 유럽열강의 이해관계(2005년 외무고시) 13

제5문
비스마르크 대외정책의 통일전후 비교(2002년 외무고시) 16

제6문
동양 3국의 개항조약 비교(2008년 외무고시) 19

제7문
동맹의 논리를 통한 『조선책략』 해석(2011년 외무고시) 22

제8문
청일전쟁과 중국 부상 시대 비교(2010년 외무고시) 24

제9문
조선의 지정학과 외교사적 교훈(2007년 외무고시) 27

제10문
러일전쟁과 세력균형(2016년 국립외교원) 31

제11문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과 연합국의 소련정책(2020년 국립외교원) 34

제12문
영일동맹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일본과 서구열강의 관계(2013년 외무고시) 37

제13문
중일전쟁 이후 미ㆍ일갈 등의 과정(2021년 국립외교원) 40

제14문
뮌헨협정과 대만문제(2023년 국립외교원) 43

제15문
양차대전 이후 전후처리과정(2004년 외무고시) 46

제16문
냉전형성에서 유럽과 동아시아 비교(2012년 외무고시) 48

제17문
냉전형성과정과 미소 외교정책(2009년 외무고시) 51

제18문
한국전쟁과 소련과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2017년 국립외교원) 54

제19문
닉슨독트린과 방기와 연루(2018년 국립외교원) 59

제20문
한미관계에서 중요한 사건들과 역사적 함의(2003년 외무고시) 63



Part 02. 이론 문제

제1문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부 방법(행시 정치학에서만 출제됨: 보험용) 69

제2문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양면게임 방안(2015년 입법고시) 75

제3문
왈츠의 세 가지 이미지, 1차 세계대전, 국제연맹, 국제연합(2014년 국제통상) 81

제4문
분석수준 북한 핵실험과 비핵화를 위한 다자적 접근 방식(2007년 국제통상) 85

제5문
외교사(2022년 국립외교원) 제1문. 에서 해설 89

제6문
세계화와 평화 관계 논쟁(2007년 국제통상) 90

제7문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특성과 이론적 설명(2015년 입법고시) 94

제8문
안보딜레마의 현실주의 관점에서 완화 방안(2022년 입법고시) 100

제9문
사이버공간과 사이버 안보 딜레마의 관계(2021년 국립외교원) 104

제10문
탈냉전기 구조의 안정성논쟁(2009년 외무고시) 108

제11문
극성과 미국 일극체제의 지속성(2014년 국립외교원) 114

제12문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회피방안(2018년 입시) 122

제13문
미국패권의 미래 : 연성권력과 경성권력의 관점(2012년 입법고시) 127

제14문
경성권력쇠퇴와 연성권력 작동조건(2013년 5급공채) 135

제15문
한국의 공공외교 활성화방안(2013년 입법고시) 140

제16문
군사적 조치의 유효성과 정당성 논의(2003년 입법고시) 142

제17문
강대국과 약소국의 국가이익 비교(2003년도 외무고시) 145

제18문
이라크 파병과 의사결정과정(2004년 5급공채) 149

제19문
홉스와 죄수의 딜레마상황(2011년 5급공채) 152

제20문
해양세력이론과 중국적용(2014년 국립외교원) 155

제21문
한반도, 동중국해, 남중국해의 지정학(2016년 입법고시) 160

제22문
힘의 변동과 미ㆍ중 관계 예측(2011년 국립외교원) 169

제23문
세력균형전략과 편승전략의 비교(2011년 입시) 173

제24문
연성균형, 편승, 헤징, 적대적 세력균형(2015년 국제통상직) 176

제25문
동아시아 안보딜레마의 해석(2008년 국제통상직) 182

제26문
미국 우선주의와 미중관계 분석(2019년 국립외교원) 186

제27문
패권안정이론과 패권의 역할(2022년 국립외교원) 193

제28문
현실주의 관점에서 한중일 갈등 해결방안(2006년 5급공채) 196

제29문
동북아시아 지역체제의 안정성(2006년 입법고시) 199

제30문
9.11이후 동북아시아 안정화 방안(2005년 입시) 203

제31문
방어적 현실주의의 미중관계 해법논쟁(2024년 5급공채) 207

제32문
한국전쟁과 소련과 중국의 정책결정(외교사 17번 문제에서 해설) 215

제33문
앨리슨 모델의 북한 무기 구입에의 적용(2013년 5급공채) 216

제34문
제재와 개성공단효과 논쟁(2017년 국제통상직) 219

제35문
상호의존이론과 한미자유무역협정에의 함의(2007년 5급 공채) 222

제36문
경제적 상호의존과 안보갈등(2017년 행시 국제통상) 226

제37문
상호의존과 통합이론에 따른 평화(2009년 국제통상) 233

제38문
무정부상태에 대한 논쟁(2018년 국립외교원) 237

제39문
남북관계에서 상호주의의 적용가능성(2010년 5급공채) 245

제40문
민주평화이론과 그 한계(2013년 국립외교원) 249

제41문
민주평화이론과 그 한계(2022년 5급공채) 255

제42문
세력전이, 세력균형, 민주평화이론의 미중간 관계 분석(2012년 외무고시) 258

제43문
상대적 이익상황에서의 게임이론을 통한 국제협력(2012년 국제통상) 266

제44문
글로벌 거버넌스 이론과 비국가행위자의 활동평가(2009년 입법고시) 272

제45문
글로벌 거버넌스와 NGO의 역할 논의(2013년 국제통상) 274

제46문
자유주의 위기론과 아이켄베리(2018년 5급공채) 278

제47문
구조적 자유주의에 대한 도전과 위기(2024년 국립외교원) 281

제48문
구성주의관점의 한국 지도자 해석(2008년 외무고시) 288

제49문
기후변화문제와 구성주의의 인식공동체모델(2024년 입법고시) 298

제50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이론별 비교(2023년 국립외교원) 301

제51문
국제원조와 이론별 구조 가정의 비교(2023년 5급공채) 306

제52문
국제사회학파와 동북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 방향(2010년 외무고시) 310


Part 03. 이슈

제1문
안보딜레마의 현실주의 관점에서 완화 방안(2022년 입법고시) 321

제2문
코로나로 인한 인간 안보에 대한 국제기구의 역할(2020년 입법고시) 326

제3문
에너지 안보(2008년 입법고시) 329

제4문
사이버 안보 딜레마(2021년 국립외교원 : 이론 안보딜레마에서 설명) 332

제5문
기대효용이론 차원에서 억지전략의 성공가능성(2014년 국제통상) 333

제6문
왈츠 핵확산 낙관론과 조직과정모델의 반론(2024년 국립외교원) 335

제7문
한국의 상호주의 전략(2011년 국제통상직) 338

제8문
국제정치 이론 중 남북관계 해결방안(2019년 입법고시) 343

제9문
1차 북한 핵문제와 2차 북한 핵문제 비교(2013년 국제통상) 349

제10문
벼랑끝 전술과 한국의 역할(2018년 입법고시) 352

제11문
북한 핵문제와 핵확산과 안정-불안정역설(2019년 국립외교원) 358

제12문
비확산. 반확산. 핵확산과 지역안성성 논쟁(2015년 행시 국제통상) 365

제13문
핵무기, 국제평화, 비정부행위자의 핵확산 방지 역할 논쟁(2010년 국제통상) 371

제14문
핵확산 방지체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2010년 입법고시) 376

제15문
확장억지와 청중비용(2014년 국립외교원) 379

제16문
동맹이론들 비교와 NATO 사례(2013년 국립외교원) 383

제17문
신흥강대국의 부상과 군사동맹의 신뢰성(2020년 국립외교원) 389

제18문
동맹의 내부게임과 외부게임 분석(2022년 국립외교원) 395

제19문
허쉬만이론으로 분석한 한미동맹(2015년 5급 공채) 400

제20문
미중간 동아시아 정책과 한국의 동맹전략(2015년 국립외교원) 408

제21문
난민 문제와 사회적 안보(2017년 국제통상) 414

제22문
자유주의 국제질서와 그 위기(2018년 5급 공채) 419

제23문
자유주의국제질서와 블렉시트(2018년 5급공채 : 이론에서 다룬 문제) 420

제24문
베이징 컨센서스와 워싱턴 컨센서스 비교(2011년 5급공채) 426

제25문
달러 패권의 지속성 논쟁(2013년 외무고시) 430

제26문
지역화와 지역주의와 동시아의 낮은 지역주의 원인(2015년 입법고시) 434

제27문
브렉시트와 유럽통합의 미래 전망(2016년 국제통상) 441

제28문
지역 무역협정과 다자주의간 관계(2016년 5급 공채) 446

제29문
동아시아에서 지역통합 지체의 이유(2015년 국제통상) 449

제30문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 제도화 방안(2008년 국제통상) 454

제31문
전간기 금본위제 실패의 원인(2016년 국립외교원) 457

제32문
3위 불일치와 금융체제 안정화 노력(2018년 국립외교원) 464

제33문
브레튼우즈 II 체제의 특징과 지속가능성(2017년 국립외교원) 467

제34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의 제도적 발전가능성(2011년 외무고시) 470

제35문
다국적 기업의 투자와 약소국의 경제발전 방안(2010년 외무고시) 475

제36문
앨리슨모델과 북한의 해외무기구입적용(2013년 5급공채 : 이론에서 다룸) 478

제37문
양면게임이론의 장기적 게임 결과(2020년 국립외교원) 479

제38문
집단사고 모델(2016년 국립외교원) 481

제39문
도시외교와 공공외교(2019년 5급공채) 483

제40문
공여국가와 수혜국간 해외원조 원인과 효과(2014년 행시 국제통상) 486

제41문
미국외교에서 고립주의(2023년 입법고시) 492

제42문
북한핵 문제에서 안전보장이사회의 한계점(2013년 외무고시) 495

제43문
글로벌 거버넌스의 등장과 변화 설명(2017년 국립외교원) 500

제44문
공유지의 비극이론과 환경협력가능성(2008년 5급 공채) 504

제45문
기후위기와 국제협력의 어려움과 안보 개념 확장(2020년 5급공채) 510

제46문
집단행동과 교토체제의 대안가능성(2015년 국립외교원) 516

제47문
경제제재의 외교수단으로서 유용성(2012년 국제통상) 519

제48문
인도적 개입 논의(2012년 국제통상) 523

제49문
보호책임 규범의 내용과 한계(2016년 5급 공채 국제통상) 529

제50문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의 코로나 위기 대응방식(2021년 5급공채) 535

제51문
헌팅턴 문명충돌론 논의(2017년 입법고시) 539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안내 사항

◇ 회원, 비회원 모두 주문하실 수 있으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 구매(02-883-4939) 모두 가능 합니다.

◇ 주문품목을 정하신 분은 인터넷을, 자세한 상담과 함께 주문하실분은 전화상담 후 주문을 하십시오.

◇ 주문자와 입금자(무통장입금일 경우)의 성함, 주소가 다를 경우 반드시 저희 서점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1일 2회 이상 주문하시는 경우 택배비가 중복되어 계산되므로 한번만 계산을 하셔셔 입금을 하신 후 배송시 요구란에 반드시 묶음 배송을 요청하는 글을 남겨 주십시오.

◇ 저희서점에서 물건을 발송하는 당일날짜로 주문상태가 배송완료로 기록되며, 실제 고객 님이 상품을 수령하는 날은 배송완료 이후 1~2일(48시간) 소요됩니다.

◇ 강의용 제본교재는 비닐포장이 되지 않습니다. 

 

배송료 및 배송기간

◇ 주문하신 도서는 대금결제가 완료된 후 재고량을 보유하고 있을 시 택배로 즉시 발송되 며, 발송 후 1~2일 내에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단, 주문서의 품절이나 기타 사유로 배송이 늦어질 경우 메일이나 전화로 사유를 알려드 립니다.

◇ 총 합산 금액이 100,000원 이상일 경우에는 배송료가 무료이며, 100,000원 미만은 2500원이 합산되어 부과됩니다.

◇ 제주도 및 도서 지역은 별도의 비용(6,500원)이 청구됩니다. 단, 100,000원 이상 주문시 2,500원 차감된 3,000원이 청구됩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 도서는 받으신 후 3일 이내에 교환/반품/환불이 가능하며 전화주시거나 고객님의 변심으 로 인한 교환/환불시에는 왕복 배송비를 부담하셔야 합니다.

◇ 서브노트 및 분철 주문하신 서적 등 상품 특성상 교환이나 환불이 불가능한 상품도 있음을 유의해 주십시오.

◇ 마이페이지의 [교환,환불]란에 신청해 주십시오.

◇ 교환/반품 주소: 서울시 관악구 신림로 28길 81  서점 북라인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